서울 실종아동 수색·전북 순찰로봇 등 2차 과제 착수

경찰청이 지역 맞춤형 치안 강화를 위해 2025년도 자치경찰 연구개발(R&D) 신규 과제 2건을 선정하고 본격적인 연구에 착수했다. 서울과 전북 지역에서 각각 인공지능 기반 실종아동 수색 시스템과 순찰로봇을 활용한 안전관리 체계 구축이 추진된다.
이번 사업은 자치경찰제 도입 이후 지역 치안 불균형 해소와 범죄 예방 역량 강화를 목표로 과학기술을 접목한 맞춤형 치안 솔루션을 개발하기 위해 마련됐다. 경찰청은 과학치안진흥센터와 함께 2027년까지 총 107억 원을 투입해 연구성과를 현장에 적용할 방침이다.
서울에서는 동국대학교가 주관기관으로 참여해 서울시 자치경찰위원회 등과 협력하여 ‘인공지능(AI) 기반 실종아동 수색 및 범죄예방(CPTED) 사업 지원 플랫폼’을 개발한다. 이 플랫폼은 AI 분석 기술을 통해 학교 주변 아동의 이상행동을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CCTV 영상 속 실종 아동의 흔적을 조기에 탐지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adsense-container-wrapper { /* 모바일 기본 스타일: 위아래 마진만 적용, 테두리/패딩 없음 */ margin-top: 1.5rem; margin-bottom: 1.5rem; padding: 0; border: none; border-radius: 0; } /* 데스크톱 화면 (768px 이상)에서만 테두리 적용 */ @media (min-width: 768px) { .adsense-container-wrapper { border: 1px solid #e5e7eb; border-radius: 0.75rem; padding: 1rem; } }아울러 서울 시내의 공간정보와 범죄 통계 데이터를 통합 분석해 범죄 예측 모델을 구축하고, 위험지역을 시각화하여 자원 배분의 효율성을 높이는 방안도 추진된다. 해당 연구는 2027년까지 3년간 진행되며, 총 사업비는 18억 4천만 원이다. 이 중 국비 14억 7천만 원, 지방비 3억 7천만 원이 투입된다.
전북 지역에서는 전주대학교가 주관기관으로서 한국전자기술연구원(KETI) 등과 함께 ‘순찰로봇 및 영상센서를 활용한 안전관리 체계 구축’ 과제를 수행한다. 이는 야간 조도가 낮아 범죄에 취약한 전주천 일대에 자율순찰로봇을 투입해 실시간 위험상황을 탐지하고, 관제센터로 영상 전송과 경고음 알림을 제공하는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다.
또한 공중화장실 내 불법촬영을 방지하기 위한 영상센서 기반 감지 시스템도 함께 개발된다. 기존 시스템의 사각지대를 보완하기 위해 센서를 공간 전체에 설치하고, 빛이 닿지 않는 곳까지 감지할 수 있는 방식이 도입된다. 해당 과제에는 총 18억 7천만 원(국비 14억 7천만 원, 지방비 4억 원)이 투입된다.
이번 사업은 2023년부터 시작된 자치경찰 연구개발사업의 일환으로, 1차 과제는 대구와 제주 지역에서 이미 진행 중이다. 대구는 AI 데이터 기반 디지털 순찰 서비스, 제주는 교통혼잡 예측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향후 실증 결과를 바탕으로 기술의 현장 배치 여부가 결정될 예정이다.
이동건 기자 cs@policyonai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