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개 제작사 참여… 배터리 안전성·리콜 이행 여부 점검

전기차 화재 예방과 운행 안전 강화를 위한 무상점검이 확대 시행된다.
국토교통부는 지난 2024년 8월 발생한 전기차 화재사고를 계기로 마련된 ‘전기차 화재 안전관리 대책’에 따라, 전국 14개 전기차 제작사에서 자발적으로 무상 안전점검을 진행 중이라고 28일 밝혔다.
이번 무상점검에는 현대·기아·KG모빌리티 등 국산차 3개사를 포함해 BMW·벤츠·테슬라 등 수입차 브랜드까지 총 14개사가 참여한다. 제작사별로 점검 기간은 상이하며, 현대·기아·폭스바겐·아우디 등 일부 제작사는 연중 상시 점검 체계를 운영 중이다.
주요 점검 항목은 고전압 배터리의 상태와 냉각 시스템, 배터리 하부의 외관 상태 등이다. 이상이 확인될 경우 수리 안내도 함께 제공된다. 아울러 일부 구형 배터리 관리시스템(BMS) 탑재 차량은 배터리 상태 모니터링 강화를 위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가 진행되며, 리콜 대상 여부도 함께 확인해 조치를 받을 수 있도록 했다.
이용자는 제작사별 점검 일정을 확인한 후 인근 서비스센터에 예약을 통해 점검을 받을 수 있다. 제작사별 상세 일정과 연락처는 국토교통부 누리집(www.molit.go.kr)에서 확인 가능하다.
국토교통부는 제도적 보완도 병행하고 있다. 리콜 미이행 차량의 경우 정기검사에서 부적합 처리되도록 하는 내용의 관련 법령 개정안을 입법예고 중이다. 해당 개정안은 2025년 4월 30일부터 6월 9일까지 입법예고 기간을 거친다.
이와 관련해 국토부는 “화재 우려 차량에 대한 사전 조치를 강화하고, 전기차 이용자의 안전 확보를 위한 제도 개선을 지속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점검은 최근 잇따른 전기차 화재사고 이후 국민 불안 해소를 위한 실질적 조치로, 전기차 이용자의 참여 확대가 기대된다.
이동건 기자 cs@policyonair.com